대학생 2명 중 1명 이상이 지난해보다 올해 취업하는 게 더 어렵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전국 4년제 대학생 3461명을 대상으로 ‘2016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를 실시해 2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학생들이 느끼는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은 ‘작년보다 어렵다’(52.6%), ‘비슷하다’(26.5%), ‘잘 모르겠다’(18.3%), ‘작년보다 좋다’(2.6%)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취업하고 싶어하는 기업은 ‘대기업’(32.3%), ‘공사 등 공기업’(25.4%), ‘중견기업’(13.3%), ‘외국계기업’(8.5%), ‘금융기관’(5.5%), ‘중소기업’(5.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대학생이 희망하는 첫 직장의 연봉은 평균 3464만원으로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근로자 중 연봉 상위 32.8%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남녀별로는 남학생(3568만원)이 여학생(3309만원)보다 259만원 더 많았고, 대기업 취업 희망자 (3713만원)가 중소기업 취업 희망자(3016만원)보다 697만원 더 많았다.
희망 근무지역은 ‘서울 등 수도권’(47.3%), ‘출신대학, 부모님이 있는 연고지역’(42.9%), ‘연고지역 외의 지방’(9.4%) 등의 순이었다.
서울 등 수도권을 희망 근무지로 선택하지 않은 학생은 그 이유로 ‘주거비, 생활비 등을 감당하기 어려워서’(51.9%), ‘가족, 지인과 떨어지기 싫어서’(17.2%), ‘취업하고 싶은 기업이 지방에 소재해서’(15.8%), ‘수도권 소재 기업에 취업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7.2%) 순으로 답했다(조사기간 : 9월5~30일, 표온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1.67%포인트).
이에 대해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대학생들은 청년실업문제 해소를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근로조건 격차 해소’(응답자의 46.7%)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34.7%) 등이 가장 필요하다고 제안했다”며 “대기업 노사는 중소기업과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정부와 정치권은 규제개혁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