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부인.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오늘(7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받은 뒤 귀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15시간 넘게 조사를 받았다. 어제(6일) 오전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된 우병우 전 수석은 15시간 넘게 조사를 받은 뒤 오늘(7일) 오전 1시30분쯤 집으로 돌아갔다.
우병우 전 수석은 이날 조사를 마치고 나온 뒤 "검찰에서 있는 그대로 충분히 다 말씀을 드렸다"고 밝혔다. 전날 우병우 전 수석은 검찰에 출석해 각종 의혹과 최순실씨 연관 여부에 대해서는 아무런 답도 하지 않았다. 또 가족회사 정강을 통한 횡렴 혐의에 대한 질문을 받자 신경질적인 표정으로 취재진을 노려보는 장면이 방송을 그대로 타면서 빈축을 사기도 했다.
검찰 우병우·이석수 특별수사팀은 이날 우병우 전 수석을 소환해 아들 ‘보직 논란’ 관련 직권남용 혐의, 가족회사 정강을 통한 횡령 등 혐의를 집중 조사했다. 이날 조사에서 우 전 수석은 혐의를 대부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강은 우 전 수석(지분율 20%), 우 전 수석의 아내(50%)와 자녀 세 명(각 10%) 등 우 전 수석 가족이 지분 100%를 갖고 있는 가족회사다. 임직원은 우 전 수석 아내 단 한 명뿐이다.
정강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차량 유지비로 1485만원을 사용했다. 차량 리스료 등이 들어가는 항목인 '지급 임차료' 지출도 2년간 7988만원이었다. 이 때문에 정강의 차량을 우 전 수석 등 가족이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정강은 접대비로도 1907만원을 썼다.
이와 관련 특별수사팀은 지난달 31일 우 전 수석의 아내 A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지난 3일엔 우 전 수석 장모도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또 우 전 수석은 아들이 지난해 7월 정부서울청사 경비대에서 편한 보직으로 통하는 서울경찰청 운전병으로 전출된 것과 관련해 직권남용을 저지른 혐의도 받고 있다. 다만 아들에 대한 소환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우 전 수석은 개인 비리 의혹이 제기된 데다 최순실씨 국정개입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지난달 30일 결국 사표를 제출하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