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대표. 영수회담 철회.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추미애 대표가 영수회담 제안을 철회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어제(14일) 최순실 게이트 사태 수습을 위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제안했다가 당 안팎에서 반발이 이어지면서 이날 밤 제안을 철회했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4시간이 넘게 의원총회를 가진 끝에 영수회담 계획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당론이 새롭게 결정돼 영수회담 제안을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당론 수위가 박 대통령 2선 후퇴 요구에서 퇴진 요구로 높아져 명분이 부족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날 오전 추미애 대표의 제안을 청와대가 수용하면서 영수회담이 성사된 후 국민의당, 정의당은 물론 당내에서도 반발이 이어진 영향도 적지 않아 보인다. 의총에서도 추미애 대표를 성토하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제안 과정에서 당내 의견 수렴이 없었다는 주장이 대다수 의원들한테서 나왔다. 특히 지도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국민의당·정의당과, 시민사회단체와의 공조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창일 의원은 의총 도중 취재진에게 "무엇 때문에 가는 것인지 목적이 불분명하다. 가서 악수하려고? 신문에 크게 나려고? 돌출행동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고, 이언주 의원도 "보수층, 지지층 양쪽에서 욕을 들을 것이다. 우리도 기득권세력이다. 더이상 민심에 역행해서는 안 된다. 체면이 다소 상하긴 하지만 회담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추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이 성사된 뒤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저의가 의심된다"며 추 대표를 강하게 비난했고,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 역시 "청와대가 천군만마를 얻었다"며 영수회담의 부적절성을 강하게 성토했다. 이어 문재인 전 대표 역시 "사전 합의는 없었다"며 추 대표 결정과 거리를 두면서 결국 제안 철회 결정으로 이어지게 됐다.
추 대표는 지난 9월에도 전두환 전 대통령 예방 계획을 밝혔다가 당내 반발이 일어 철회한 적이 있어, 당분간 리더십에 대한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영수회담이 없던 일로 되면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하야 요구에 대한 야3당의 의견일치가 더욱 굳어지게 됐다. 특히 제1야당인 민주당이 제안 철회와 함께 박 대통령 퇴진 요구를 당론으로 정함으로써, 박근혜정부 최순실 게이트 초반부터 퇴진을 요구해왔던 정의당 등과 함께 야권의 목소리가 한 데 모이게 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