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GS그룹 회장이 2011년부터 수장을 맡아 이끌어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대 위기를 맞았다. 극우보수단체 어버이연합 우회 지원 논란에 이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대기업 자금 모금 창구로 전락한 사실이 드러나 해체와 쇄신의 갈림길에 선 것이다.
허 회장은 최근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해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전 보고를 받았다”며 “청와대의 요청을 거절하기 힘들었다”고 정경유착을 시인했다. 이와 관련 주요 회원사인 삼성·SK·CJ가 전경련 해체 입장을 밝혔으며 다른 대기업도 환골탈태 수준의 쇄신을 주장했다.
허창수 GS그룹 회장.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재계 안팎에선 사무국 주도의 밀실 운영이 정경유착의 검은 커넥션을 키웠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지만 전경련은 여전히 밀실에서 앞으로의 행보를 모색하고 있어 빈축을 산다.
지난 15일 전경련은 회원사의 쇄신안 관련 의견수렴을 위해 서울시내 한 호텔에서 주요 그룹 대외업무 담당 사장급 임원을 소집해 비공개 회의를 진행했다. 비밀 작전처럼 진행된 이날 회의에 대해 전경련 측은 “회원사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당시 회의에는 핵심 회원사인 10대 그룹이 대부분 불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전경련에 대한 회원사의 신뢰가 땅에 떨어졌음을 방증한다.
대기업 한 관계자는 “국정조사가 진행 중이고 특별검사 수사도 대비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런 사태를 촉발시킨 전경련의 소집 요청에 응할 이유가 없다”며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될 경우 55년간 이어온 전경련의 생명력은 허 회장 대에서 수명을 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6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