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비 대위가 어제(22일)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제5차 청문회에 조여옥 대위와 동행했다. /사진=뉴시스

국방부는 오늘(23일) "이슬비 대위는 조여옥 대위의 요청으로 동행한 것"이라며 "국방부에서 관여한 것은 없다"라고 밝혔다.
앞서 이슬비 대위는 어제(22일)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제5차 청문회에 조여옥 대위와 동행했다.

이슬비 대위는 이날 "개인적인 목적으로 휴가를 냈는데, 친분으로 이 자리에 참석했다"며 "청문회에 온다고 말했더니 (국군수도병원에서) 공가 처리로 바꿔준다는 말을 들었다"고 진술해 논란을 빚었다.


이슬비 대위는 '국군수도병원에서 왜 공가로 처리해 주는가'라는 질문에 "국방부 측에서 조여옥 대위와 동행해줄 근무자를 붙이고 싶어 했는데, 나를 선택했다고 판단했다"고 진술해 논란을 키웠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슬비 대위는 개인 휴가 중에 조여옥 대위가 (청문회에) 같이 가자고 하니 동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슬비 대위가 신분을 밝히는 과정에서 공가를 언급한 것에 대해 "집(전남 보성군)에서 위치 이동을 해야 해서 보고를 하는데 실무자가 공가 처리를 언급한 것 같다"며 "실제 확인해보니 공가가 조치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조여옥 대위가 국군수도병원 중환자실로 인사 발령이 났다는 보도와 관련해 "부대 분류를 인사 발령으로 오해한 것"이라며 "최초 인사 발령을 하기 전에 부대를 분류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대 분류 결과가 지난 19일 나왔는데, 보통 개인에게 통보하지 않고 국방부 인트라넷에 공개한다"며 "조여옥 대위가 외부에서 (인트라넷에) 접근하지 못해 (이를) 못 본 것 같다.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