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자산의 70%가 부동산인 나라, 임대사업자가 사람들의 꿈인 나라, "믿을 건 부동산뿐"이라는 명제가 통하는 나라, 바로 대한민국이다. 

하지만 급격한 속도의 초고령화와 저성장 ‧ 버블붕괴 등이 부동산 불패신화를 위협하고 있다.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이런 주변 여건들은 부동산 시장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까.
책 '2017-2018 대한민국 부동산'은 이러한 질문에 대해 명쾌한 해답을 내놓는다. 공동저자인 부동산 전문기자 7인은 급변하는 정치, 사회 변화에 따른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 변화, 우리나라 임대시장의 구조적 변화, 수익형 부동산 ‧ 뉴스테이 ‧ 셰어하우스와 같은 부동산 트렌드 점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고 있는 대한민국의 실정에 맞는 주거 환경 대변화 등 부동산 시장을 움직이는 모든 요소를 총망라하여 향후 나아갈 방향을 예측한다.

그리고 '하우스푸어’에서 ‘렌트푸어’로 하향화된 서민들. “빚내서 집사라”에서 “빚내서 월세 살라”로 다운그레이드된 삶. 유일한 자산이 집 한 채인 사람들 등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전셋집의 보일러가 고장 나면 누가 수리비를 내야 하는가?', '서울~세종고속도로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등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궁금증들을 풀이한다.


한편 어느 정권이 들어서느냐에 따라 주택정책, 토지정책, 사회간접자본투자 등 많은 부분의 우선순위가 바뀌기 때문에 대선을 점치는 것 또한 부동산에 있어 유의미한 행위다.

이에 이 책은 20대 국회에서 각 당이 내놓은 공약과 정책의 실행 상황과 실효성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여, 헌법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빠르게 다가올지도 모를 대선과 관련해 변화될 향후 부동산 시장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조언한다.

▲서동욱 외 지음 / 북투데이 펴냄 / 304쪽 / 1만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