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노조 출범식/사진=뉴스1DB @머니S 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유망 창업아이템의 모든 것
한국맥도날드가 망원점의 영업을 전격 중단하면서 월급과 퇴직금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맥도날드 측이 공식 입장을 밝혔다. 맥도날드는 10일 아르바이트 노동조합(알바노조)이 맥도날드 망원점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폐점으로 월급을 받지 못한 60명 직원에 대한 월급과 퇴직금을 지급하라고 촉구한 것과 관련해 "망원점주는 납득할 만한 이유 없이 수년간 서비스료 등을 연체하거나 지불하지 않는 등 계약을 정상적으로 이행하지 않아 현재까지 미지급된 서비스료 등이 6-7억원으로 이에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본사뿐 아니라 식재료나 장비 공급을 담당하는 협력업체들에도 대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아 협력업체들의 피해도 계속해서 커지고 있던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맥도날드는 수십 차례 유선 및 대면 대화 시도를 통해 원만한 협의를 이끌어내고자 최선을 다했습니다만, 해당 점주는 회사의 연락을 받지 않았고 더 이상의 협의가 어렵다는 판단을 하게됐다"며 "이에 해당 오너에 대해 적법한 절차에 따라 가맹 계약 해지 및 그간 미지급된 서비스료 등에 대한 지급청구소송을 진행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해당 점주가 주장한 합정 메세나폴리스점이 오픈하며 영업 피해를 봤다는 것, 직원과 아르바이트생들의 임금을 지급하지 못한 것은 본사에서 본인의 사업 계좌를 가압류하면서 수중에 돈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도 전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맥도날드는 "실제 맥도날드 망원점의 매출은 합정 메세나폴리스점의 오픈으로 인해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매출 상위의매장이었다"며 "맥도날드 망원점에서 수년간 일을 했다는 한 직원은 해당점주가 문을 닫기 직전에 매장에 나타나 금고에서 현금 수 천만원을 가져갔으면서 직원들 임금 줄 돈은 없다는 오너의 이야기는 터무니없게 들린다고 증언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맥도날드는 또 "본 사안의 해결 과정에서 사회적 약자인 청년들의 권리 보호와 피해 구제를 최우선으로 염두하고 있으며 관련 제도 등을 활용해 직원들이 밀린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인 조치를 돕고 있다"며 "또한 실업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하는 직원들에게는 인근 직영점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맥도날드는 지난해 12월1일자로 서울 망원동에 위치한 망원점에 가맹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이후 해당 점주는 "2012년 9월 인근에 직영점인 합정 메세나폴리스점이 오픈하면서 영업에 피해를 봤다"면서 '맥도날드의 갑질'이라는 내용으로 제보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그 과정에서 점주는 본사에서 본인의 사업계좌를 가압류해 돈이 없다며 직원과 아르바이트생들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않아 논란이 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