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복수동1구역주택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조성되는 복수센트럴자이 조감도. /사진=GS건설
올해 지방 광역시에서 공급되는 아파트 물량 중 전체의 50%가 넘는 물량이 재개발·재건축으로 공급될 전망이다. 이는 2000년대 들어 가장 높은 비율이다. 13일 업계와 부동산114 등에 따르면 올해 지방 광역시에서 공급 예정인 아파트는 총 7만2426가구로 이 중 재개발·재건축이 차지하는 비율은 50.04%(3만6247가구)다.
이는 지난해(1만3879가구)보다 약 38% 증가한 수치로 전국(총 36만3843가구 공급예정, 재개발·재건축 13만5639가구 공급예정) 재개발·재건축 물량의 26.7%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부산(2만3401가구) ▲대전(5973가구) ▲대구(3518가구) ▲광주(3355가구) ▲울산(0가구) 순이다.
업계에서는 11·3부동산대책 등 분양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대부분 주거환경이 잘 갖춰진 도심에 들어서는 재개발·재건축의 경우 수요층이 탄탄하고 미분양 리스크가 적다는 점을 공급 증가 이유로 꼽았다. 실제로 지난해 공급된 아파트 상위 청약경쟁률 20개 단지 중 재개발·재건축이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여기에 정부의 공공택지 공급 중단으로 아파트를 지을 땅이 부족해지고 올해 말 종료되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도 전국적인 재개발-재건축 공급 증가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는 조합원이 재건축을 통해 얻은 이익이 1인당 평균 3000만원을 넘을 경우 초과 금액의 최고 50%를 세금으로 내도록 한 제도다. 지방 부동산시장의 경우 수도권 대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건설사들은 미분양 위험이 적고 사업성이 확보된 재개발·재건축 시장에 집중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정비사업이 주로 구도심 등 기본적으로 기반시설을 갖춘 곳에서 추진되기 때문에 준공 후 바로 입주해도 거주하는데 불편이 적다”며 “지방 광역시의 경우 시 외곽으로 갈수록 교통망과 각종 인프라가 수도권에 비해 만족도가 쉽게 떨어질 수 있는 만큼 도심지역 정비사업 신규분양에 관심을 가져 볼만 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