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르노삼성자동차, BMW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볼보자동차코리아, 한국닛산, 포르쉐코리아, 혼다코리아 등이 제작·판매한 차량 37개종 1만8181대에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를 내렸다고 7일 밝혔다.
르노삼성의 SM6는 에어백을 부풀리는 장치인 인플레이터 불량이 발생했다. 리콜대상은 2016년 9월 20일부터 2016년 9월 30일, 10월20일부터 11월 2일까지 제작된 SM6(가솔린, 가솔린터보, LPG, 디젤 사양) 승용자동차 4300대이며,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오는 12일부터 르노삼성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 받을 수 있다.
BMW X6 xDrive30d 등 16개 차종은 변속기 동력을 구동축에 전달하는 장치(프로펠러 샤프트) 이상으로 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생겼다. 428i 컨버터블 등에서는 에어백 인플레이터 결함도 발견됐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의 폭스바겐 파사트 CC B6 등 8개 차종은 보조 브레이크 장치인 ABS 모듈 내 전기기판 전도체 제작불량이 발견됐다.
볼보자동차코리아의 XC90 등 3개 차종은 커튼에어백 고정용 볼트 재질불량으로 볼트가 부러질 경우 사고 시 커튼에어백이 정상위치에서 전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닛산의 무라노 하이브리드 승용차는 뒷좌석 어린이보호용 좌석부착장치가 3곳에 설치돼야 하지만 2곳에만 설치된 문제가 발견됐다. 자동차 안전기준 위반으로 해당자동차 매출액의 1%에 해당하는 과징금(약 3200만원)을 부과할 예정이다.
포르쉐코리아의 718 박스터 등 4개 차종은 창유리(전면) 접착부위 제조공정불량으로 충돌 시 창유리가 이탈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수석 에어백 인플레이터 결함도 발견됐다.
혼다코리아의 SCR110α 오토바이는 ACG(충전장치)커넥터의 제조불량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리콜 차량의 제작사는 소유자에게 우편으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된다. 리콜 시행 전에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리콜 차량 소유자는 해당 업체의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제품교환·수리를 받을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www.ca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