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다동 사옥 앞 모습. /자료사진=뉴스1 황기선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신규자금 지원을 위한 전제조건인 채무재조정을 성공적으로 끝마치며 경영정상화에 시동을 건다.
대우조선은 지난 17일과 18일 양일간 5회차에 걸쳐 약 1조3000억원의 채권을 보유한 채권자를 대상으로 사채권자 집회를 열고 참가자의 99%에 달하는 압도적인 가결을 얻어냈다. 2000억원 규모의 기업어음(CP)투자자의 전원동의를 얻어야하는 절차가 남아있지만 CP투자자 대부분이 회사채 보유자인데다 사채권자집회에서 결정된 사항에 제동을 걸기는 부담이 커 순탄히 채무재조정이 마무리 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채무재조정 이후 경영정상화 방안이 차질없이 시행되면 대우조선은 ‘작지만 건실한 회사’로 거듭나 주인찾기에 나서게된다. 사업분야는 고부가상선과 방산위주로 개편하고 위험이 높은 해양플랜트는 사실상 배제한다. 현재 1만명 수준의 직영인력도 9000명 수준으로 줄일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말 기준 매출 12.7조원 규모의 회사를 2021년까지 6~7조원 내외로 축소하는 대신 수익성이 있는 사업에 치중해 -12.6%의 영업이익을 1.5%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2732%의 부채비율도 250% 수준으로 낮춘다는 목표다.


금융당국은 대우조선을 개편한 뒤 국내 조선사에 조속히 인수합병시켜 국내 조선산업을 빅2체제로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산업지형을 고려했을 때 조선업은 빅3보다 빅2체제가 맞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경영정상화 방안의 전제조건이 충족되며 이를 위한 기틀은 마련됐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우선 이번 채무재조정으로 대우조선은 한동안 유동성에 대한 시름에서 벗어나 경영정상화에 전력을 쏟을 수 있다. 3년간 회사채를 갚을 필요가 없고 2015년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에서 지원받은 4조2000억원 중 남은 4000억원을 선박건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함께 부족 자금은 산은과 수은이 지급하는 2.9조원의 신규자금에서 활용할 수 있다.

대우조선의 경영정상화에 있어 가장 큰 변수는 수주다. 앞서 삼정KPMG는 대우조선해양 실사보고서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올해 수주 목표로 20억달러, 내년 기준 54억달러, 2019~2021년 기준 72~77억달러를 잡았다. 보수적으로 설정한 목표라고 하지만 2018년 이후 시황개선을 전제로 한 만큼 낙관적으로만 보기는 어렵다.


특히 국책은행이 지원하는 2.9조원의 신규자금은 선박 건조와 협력업체 대금 지급 등에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신규수주 목표를 채우지 못할 경우 대우조선은 또 다시 유동성 위기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다만 다음달부터 수주활동에 필수적인 RG 와 외국환 등에 대해 국책은행과 무역보험공사, 시중은행들이 지원하기로 함에 따라 수주에도 힘을 받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