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연휴 가볼 만한 곳. 사진은 남해 일주도로. /사진=뉴시스(한국관광공사 제공)
한국관광공사는 오늘(24일) '5월에 가볼 만한 곳'으로 '운치 있는 드라이브 코스 7개'를 발표했다.
선정된 곳은 △물빛 그윽한 풍경이 짜릿한 수상 스포츠까지, 75번 국도 중 가평 구간(경기 가평군) △해안 비경 품은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 강릉 헌화로 구간(강원 강릉시) △하늘 맞닿은 길, 정선 414번 지방도 만항재 구간(강원 정선군) △금강 상류 넘나들며 호젓한 드라이브, 금산 방우리-적벽강 구간(충남 금산군) △섬진강 따라 봄을 달린다, 섬진강 17번 국도 중 곡성-구례 구간(전남 곡성군, 구례군) △고즈넉한 봄 정취를 따라가는 드라이브 코스, 88번 지방도 중 춘양-영월 구간(경북 봉화군, 강원 영월군) △봄빛과 쪽빛 가득한 보물섬 드라이브, 남해도 일주도로 구간(경남 남해군)이다.
75번 국도는 경기 가평군 설악면에서 강원 화천군 사내면까지 이어진 도로다. 길은 물길을 끼고 가는데 북한강과 나란히 달리는 구간이 아름답다. 쁘띠프랑스, 인터렉티브아트뮤지엄, 자라섬, 가평레일파크 등 75번 국도를 따라 볼거리, 놀거리, 즐길거리들이 많이 있다.
강릉 헌화로는 강원 강릉시 옥계면 금진해변에서 정동진항까지 이어진 드라이브 코스다. 금진항을 지나 심곡항에 이르는 구간은 한쪽은 아찔한 해안 절벽, 다른 쪽은 탁 트인 바다를 끼고 달린다. 하슬라아트월드, 등명락가사, 강릉통일공원, 강릉커피거리, 영진해변, 주문진수산시장으로 동선을 짜면 알찬 여행을 즐길 수 있다.
만항재는 고갯마루가 무려 1330m에 달해 우리나라에서 포장도로가 놓인 고개 가운데 가장 높은 드라이브 코스로 알려졌다. 출발점은 38번 국도와 414번 지방도가 갈리는 강원 정선군 고한읍 상갈래교차로다. 봄부터 가을까지 야생화가 피고 지는 화원으로 유명하다.
금산 방우리와 적벽강을 잇는 드라이브 길은 금강 상류 마을부터 전북 무주군을 거쳐 다시 금강을 만나는 코스다. 충남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 적벽강은 강줄기가 육중한 암산으로 둘러싸여 붉은빛을 띠는 구간으로, 높이 30m 기암절벽 아래 고요한 수면과 자갈밭이 펼쳐진다. 보석사, 금산산림문화타운, 칠백의총, 금산인삼약령시장 등을 함께 둘러보는 것도 좋다.
17번 국도는 전북 남원시에서 내려와 전남 곡성군부터 섬진강과 나란히 달리다가 전남 구례군을 거쳐 50㎞ 가까이 이어진다. 17번 국도 인근에는 영화 '곡성'을 촬영한 메타세쿼이아길, 섬진강의 운치를 만끽하며 증기기관차와 레일바이크를 탈 수 있는 섬진강기차마을, 도깨비를 테마로 한 섬진강도깨비마을 외에 사성암과 섬진강 변 대나무 숲, 화엄사와 반달가슴곰 생태체험장 등이 가까이 있다.
88번 지방도는 경북 봉화군 춘양면에서 강원 영월군까지 이어지며, 만산고택에서 청령포를 지나 선암마을 한반도 지형까지 이어지는 도로다. 조선 양반 가옥의 원형을 보여 주는 만산고택과 천년 고찰 각화사는 고즈넉한 봄 정취가 가득한 곳이며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싱그러운 봄 기운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남해도 일주도로는 1973년 준공된 남해대교가 하동과 연결되고 2003년 창선·삼천포대교가 사천을 이으면서 드라이브 명소로 거듭났다. 왼쪽 날개에는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남해유배문학관, 가천다랭이마을 등이 있고 오른쪽 날개에는 상주은모래비치, 물건리 방조어부림, 독일마을, 원예예술촌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