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은퇴 가구가 노후 생활비를 자식에게 받는 용돈, 국민연금 등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5일 통계청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인용해 이런 현실을 지적하며 "우리 국민이 노후 생활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고 있어 개인 저축과 사적 연금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사에 따르면 가구주가 아직 은퇴하지 않은 가구(83.7%)는 노후에 필요한 월평균 최소 생활비가 183만원, 적정 생활비가 264만원이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노후 생활비 준비 상황은 암울했다. 준비가 '잘 돼 있다'는 가구는 8.8%, '잘 돼 있지 않다'는 가구는 37.3%, '전혀 안 돼 있다'는 가구는 19.3% 등이었다.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16.3%)의 사정 역시 다르지 않았다. '생활비 충당이 여유 있다'는 가구는 6.3%, '생활비가 부족하다'는 가구는 60% 등이었다.
은퇴 이후 주요 생활비는 기초생활보장수급금이나 기초연금 등 공적 수혜금(30.6%), 자식 등에게 받는 용돈(28%), 공적 연금(22.4%), 개인 저축이나 사적 연금(9.8%)이라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국민은 자신의 노후 상황에 대해 상당히 비관적이고, 가구주가 아직 은퇴하지 않은 가구는 은퇴 시점을 늦추고 더 오래 일을 하는 것을 노후 준비 해결 방법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러나 고령의 근로자는 이전과 같은 노동 생산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은퇴 시점을 늦출 수 없는 경우가 많아 근로 연장이 좋은 노후 준비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인 저축과 사적 연금이 태부족인데 안정적인 은퇴 후 생활을 위해서는 개인 저축과 사적 연금을 확대해야 한다"며 "이에 대한 금융 교육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