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비정규직. 사진은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사진=뉴시스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가 향후 일자리 정책 방향성과 관련, "임금격차를 줄이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16일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 사무실 출근길에서 기자들이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효용성'을 질문하자 "기준을 세우면 예산 부담의 큰 증가 없이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자는 "기본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지나치게 크다"며 "이는 사회 동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구매력 저하로 소비 위축 문제를 일으킨다"고 비판했다.
그는 "일본 아베정부도 청년세대 무기력과 사회전체 소비 위축을 막을 길이 없겠다고 해서 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의 80%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에게 일정한 장려 정책을 썼다"며 "이번에 우리도 대통령 후보들이 대체로 80% 목표치를 제시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2015년 기준 우리 사회 임금격차는 100%(대기업 정규직), 64%(대기업 비정규직), 52%(중소기업 정규직), 35%(중소기업 비정규직), 0%(청년실업자) 등으로 구성됐고 전체 30%는 채무만 갖고 있어 실질적으로 마이너스 상태"라며 "이런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는 경제 위축, 출산률 저하, 청년실업 문제를 개선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임금격차 해소를) 제도화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며 "일정한 로드맵을 제시하고 공공기관이 수범하고 민간에게도 권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