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중구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사진=뉴스1

고용노동부는 18일 장애인 고용 실적이 저조한 548곳의 명단을 공개했다. 부문별로는 국가·지자체 8곳, 공공기관 19곳, 민간기업 521곳이었다.
지난해 6월 기준으로 명단공표 기준에 해당했던 1042곳 중 지난 3월까지 장애인 신규 채용,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등을 이행해 고용 증진 노력을 한 494개소는 제외됐다.

국가기관으로는 국회가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으며 나머지는 서울특별시교육청, 경기도교육청 등 광역 교육청이었다. 공공기관은 중소기업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연구 기관이 대부분이었다.

민간기업은 대기업의 비중이 높았으며 자산총액 상위 30대 기업집단 중 금호아시아나, 대림, 신세계, CJ, LG, GS, 포스코, 한진 등 22개 기업집단의 계열사 35개사가 대상에 포함됐다.


박성희 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올해와 2019년에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각각 0.2%포인트씩 상향 조정된다"며 "이에 맞춰 장애인의 고용을 늘리고 명단 공표 대상이 대폭 줄어들 수 있도록 장애인 인식 교육 강화, 대기업의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확대, 장애인 직업능력 개발 인프라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