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는 지난 1일 CTO(Chief Technology Officer)부문에 ‘인공지능연구소’와 ‘로봇 선행연구소’를 신설했다.
그간 음성인식, 영상인식, 센서인식 등을 연구해 온 ‘인텔리전스연구소’를 각각 AI를 전담하는 ‘인공지능연구소’와 ‘로봇’을 전담하는 ‘로봇 선행연구소’로 분리해 확대 개편한 것이다.
인공지능연구소는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 정보, 날씨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음성·영상·센서로 인식·추론·학습하는 AI플랫폼으로 구축해 스마트가전, 모바일, TV, 자동차부품, 로봇 등 회사 전 사업에 적용할 계획이다.
LG전자 공항 안내로봇. /사진=LG전자
‘로봇 선행연구소’는 지능형 로봇의 선행 기술을 개발한다.두 연구소는 CEO 직속의 ‘클라우드센터’와 H&A사업본부에 속한 ‘H&A스마트솔루션BD’ 등과 협력해 AI가전, 로봇사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집중 육성한다.
LG전자는 올해 들어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딥씽큐’ 스마트가전을 선보였고, 공항 안내 로봇과 공항 청소 로봇을 상용화하기 위해 인천공항공사와 협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로봇 스타트업인 ‘에스지로보틱스’와 협력해 오픈이노베이션을 추진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번 조직개편과 함께 AI분야의 인재육성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AI분야에서 성과가 탁월한 사내 핵심인재를 대상으로 임원급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연구위원’으로 적극 발탁할 계획이다.
인재영입도 확대한다. 올 초 전사 소프트웨어 역량과 핵심기술 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전기·전자 및 자동차부품 기술 전문가인 박일평 부사장(소프트웨어센터장)을 영입한 바 있다.
안승권 LG전자 CTO 사장은 “AI·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기존의 사업들과 융합시켜 새로운 비즈니스 패러다임으로 진화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