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 만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다량의 탄소 배출을 해온 선진국들이 국제적 현안으로 떠오른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에서 열린 기후변화에 대한 주요국 정상급 대화 자리에서 기조발언을 통해 "한국의 새정부는 촛불의 정신으로 출범했다"며 "정부 출범 이후 4개월여가 지난 지금 '사람 중심 경제'를 비롯해 국민 모두를 위한 새로운 정치·경제 시스템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정책 기조는 기후변화와 같은 초국가적 이슈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며 "모든 인류의 인간답고 지속가능한 삶을 목표로 하는 기후변화 대응에 한국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가고자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각국 정부들도 지속 가능한 환경이 바로 자국과 자국민의 이익이라는 철학을 가지기를 희망한다"며 "특히 탄소를 많이 배출해온 선진국들이 더욱 무거운 책임감으로 적극적인 의지를 가져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탄소 배출에 의무를 부과하는 탄소가격제는 "에너지 전환과 탄소 배출 감축을 유도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앞으로 친환경 투자 인센티브를 확대해 기술 혁신까지 이룸으로써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해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새 정부는 에너지 정책에서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며 "발전 단가보다는 지속 가능한 환경이 우선이다. 석탄 화력과 원전에 대한 의존을 점차적으로 줄여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까지 높일 것"이라고 공언했다.

그는 동일선상에서 몽골과 시베리아의 청정 에너지 자원을 '동북아 에너지 슈퍼그리드'로 연결하는 구상도 관련국들과 협의하고 있다며 "친환경 에너지 활용을 통해 동북아 에너지 공동체가 형성되면 경제 공동체와 다자안보 협력의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에 위치한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녹색기후기금(GCF)을 통해 개도국에 대한 지원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 피지, 폴란드, 노르웨이, 영국에 이어 6번째로 기조발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