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은 25일 입장자료를 통해 “미국 진출에 난항을 겪고 있는 메디톡스의 경쟁사 음해시도가 도를 넘어섰다. 자사의 (보톡스) 균주 출처는 이미 여러 차례 정부기관의 실사를 통과했고 수사기관 조사에서도 무혐의 내사종결 됐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대웅제약은 이어 “메디톡스 보툴리눔톡신(보톡스) 출처는 그 동안 한번도 제대로 검증받지 않았고 단지 위스콘신대학교에서 가져왔다는 메디톡스 측 일방적 주장만 있어 그 출처가 대단히 불명확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메디톡스에 균주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진 양규환 박사는 지난 2010년 KBS 한 프로그램에서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연구하던 균주를 몰래 이삿짐에 숨겨왔다”고 인터뷰한 바 있다. 이후 메디톡스와 양 박사가 공식적으로 균주 유래를 뒷받침해줄 만한 증빙자료를 공개한 적은 없다.
이에 따라 대웅제약 측은 메디톡스의 보톡스 균주가 위스콘신대학에서 유래했다는 증명이나 합법적으로 취득했다는 증명 모두 일방적인 주장 외에는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우리는 다른 여러 보툴리눔균 분리동정 사례와 같이 오염이 심한 지역 토양에서 보툴리눔톡신 균을 발견했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질병관리본부에 신고한 후 실사를 받았다”며 “이후에도 메디톡스의 (균주출처 논란) 이의제기 때문에 또다시 현장실사를 포함한 검증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반면 메디톡스는 스스로 외부에서 균주를 몰래 이삿짐에 가지고 왔다는 사실상 절취했다는 주장만 있지 그 사실관계에 대해서도 명확히 조사를 받거나 검증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메디톡스가 자사 보톡스제품의 미국 진출이 난항에 빠지자 선진 시장진출에 앞서 있는 대웅제약 발목잡기에 지속적으로 나서고 있는 형국”이라며 “메디톡스가 진정 제품 품질과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에 자신이 있다면 경쟁사 음해에 앞서 제품경쟁력으로 대한민국 제약·바이오산업 발전에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