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5월15일 스승의 날을 맞아 그 유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스승의 날은 교권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해 교원의 사기진작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고자 지정된 법정기념일이다.
스승의 날은 1963년 충청남도 강경여자고등학교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강경여고 청소년적십자 단원들이 병중에 있거나 퇴직한 교사를 위문하면서부터다. 이 운동이 충남지역 전체로 번지면서 1963년 9월21일이 '은사의 날'로 지정됐다.
스승의 날은 1963년 충청남도 강경여자고등학교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강경여고 청소년적십자 단원들이 병중에 있거나 퇴직한 교사를 위문하면서부터다. 이 운동이 충남지역 전체로 번지면서 1963년 9월21일이 '은사의 날'로 지정됐다.
이후 2년 뒤인 1965년부터는 대한적십자사 주도 아래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15일로 날짜를 변경했다. 이때부터 각급 학교 및 교직단체가 주관이 돼 행사를 실시해왔다.
하지만 1973년 정부의 서정쇄신방침에 따라 사은행사를 규제하면서 스승의날이 폐지됐다. 스승의날은 1982년 정부가 이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면서 부활했다.
한편 2016년부터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이 시행되면서 스승의날 풍토가 변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학생에 대한 상시 평가·업무지도를 수행하는 담임교사·교과 담당교사와 학생 사이에는 직무 관련성이 인정되므로 꽃, 케이크, 기프티콘 등 금액에 상관없이 어떤 선물도 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