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등을 인식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교통신호를 미리 파악해 안전운전을 돕는 기술이 개발됐다.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신호등을 인식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교통신호를 미리 파악해 안전운전을 돕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도로 운행 시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2일 국토교통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차와 차를 넘어 차와 인프라 간 통신(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 C-ITS)을 통해 자율주행차에 교통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자율협력주행 시연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시연행사는 제주공항에서 렌터카 주차장을 왕복하는 5km 구간에서 진행됐다. 자율주행차가 통신 인프라를 통해 신호등의 교통신호정보를 제공받아 사전에 안전하게 제어하는 기능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가 센서로 신호등을 인식하기 어려운 악천후, 태양 역광, 전방 대형차로 인한 가려짐 등의 상황에 대응하고 전방 신호등의 잔여시간을 인지해 미리 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시연행사는 제주공항에서 렌터카 주차장을 왕복하는 5km 구간에서 진행됐다.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시연에 참여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는 이날 행사를 시작으로 C-ITS를 통해 제공되는 교통신호․안전정보를 활용, 자율주행 기능을 고도화하고 자율주행 실증을 제주도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제주 C-ITS 실증사업은 자율주행 기능이 없는 제주도 내 렌터카 2000대를 대상으로로 진행됐다. 교통신호 외에도 불법주정차, 역주행, 무단횡단 등 돌발상황 등의 교통안전정보를 제공했고 앞으로 대상 차종을 3000대로 늘릴 계획이다.


렌터카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교통안전정보를 제공받은 운전자의 83.1%가 감속, 정지, 차선변경을 하는 등 안전하게 반응해 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실증사업 사업관리단은 교통사고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실제 사고 데이터 분석을 진행 중이다. 올해말 C-ITS를 통한 교통안전 증진효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