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커피전문점의 매장 이용을 금지하는 방역 강화 조치 방안을 내놓으면서 업계 타격이 예상된다./사진=뉴스1
정부가 커피전문점의 매장 이용을 금지하는 방역 강화 조치 방안을 내놓으면서 업계 타격이 예상된다. 매장 이용 고객이 전체 절반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매출이 반토막날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2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통해 오는 30일 0시부터 9월6일 자정까지 방역 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도권 소재 일반음식점과 휴게음식점, 제과점에 대해서는 밤 9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포장·배달만 허용한다.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에 대해서는 영업시간과 관계없이 매장 내 음식·음료 섭취를 금지하고 포장·배달만 허용하는 핵심 방역수칙을 의무화한다.
이 같은 조치는 사회적 거리두리 3단계에 준하는 조치다. 2단계와 3단계 사이에서 사실상 거리두기 '2.5단계'를 적용하는 것이다.
커피전문점업계는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업계 1위 스타벅스커피코리아는 수도권 900개 매장이 조치 대상이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매장 이용 금지에 대한 안내와 테이크아웃 고객들의 주문 시 거리두기 등을 위해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방역당국 지침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출 타격도 예상된다. 매장 이용 고객 비중이 전체의 약 50%에 해당하기 때문. 매장 이용 고객이 사라지면 매출도 그만큼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점포마다 다르긴 하지만 매장 이용 고객이 포장 고객에 비해 많은 편이다. 5대5 혹은 4대6 수준"이라며 "안 그래도 코로나19로 상황이 좋지 않은데 매장 이용 고객 절반이 없어질 위기"라고 전했다. 이어 "비록 일주일 동안 시행되는 거지만 전체 매출의 절반이 줄어들면 아르바이트생을 해고하는 경우도 오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외식업계도 타격이 예상된다. 한 외식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요즘 밤 9시 이후로는 손님이 많이 없어 영향을 덜 받는다"면서도 "가맹점주들이 걱정스럽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나마 대형 프랜차이즈는 코로나19 이후 포장과 배달을 강화하며 대응하고 있다"면서 "영세 상인들의 피해가 심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자영업자들은 이번 발표에 한숨을 내쉬었다. 온라인 자영업자 커뮤니티에는 "올게 왔다" "배달 안하는 사람 죽어난다" "밤에 문을 여는 업장은 어쩌란 말이냐" "한팀, 두팀 받으면서 겨우 버텼는데 죽으라는 거죠" 등의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