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맥도날드는 올해 1월 서울의 한 매장에서 유효기간이 16시간 지난 햄버거 빵·또띠아 등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공익신고자가 지난 3일 공개한 폐기물 재활용 영상은 지난해부터 1년 가까이 수십차례 촬영한 것이다.
다음날 쓸 재료를 준비하면서 남은 재료에 스티커를 덧붙이는 '스티커 갈이' 방식으로 재활용이 이뤄졌다. 맥도날드는 두번이나 고개를 숙이며 전국 200여 매장을 재점검하고 식품 안전 강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밥 프랜차이즈 '청담동 마녀김밥'에서는 식중독 사태가 발생했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지점 2곳을 이용한 소비자들 중 식중독 관련 증세를 호소하는 환자가 199명으로 늘었다. 두 지점에서 닷새 동안 팔린 김밥은 약 4200줄, 이를 사 먹은 사람은 1000여명에 달해 피해 규모가 커질 전망이다.
보건당국은 집단 식중독 원인을 살모넬라균으로 추정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밀면집에서 발생해 100명 넘게 입원한 집단 식중독도 살모넬라균이 원인이었다.
서울 방배동 '방배족발'은 비위생적인 무세척 영상이 온라인상에 공개돼 비판을 받았다. 영상 속 한 남성은 고무대야에서 무를 손질하다가 발을 대야에 넣었고 무를 씻던 수세미로 발을 문지른 후 같은 수세미로 다시 무를 손질했다. 해당 식당은 서초구청으로부터 영업정지 1개월 처분을 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당 업소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식품위생법 위반행위를 확인해 관할 관청에 행정처분을 의뢰하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이처럼 먹거리 위생 관련 이슈들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외식업계 전반의 불신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외식업중앙회 관계자는 뉴시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산 김치 비위생 논란에 이어 국내 업체 식자재 위생 불량이 잇따르면서 동종업계 피해가 적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매출이 급감했는데 소비자 신뢰까지 잃을 위기에 처했다"며 "애꿎은 업체까지 피해 보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