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1500명 이상이 사망했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을 "가짜뉴스"라며 일축했다. 지난달 27일 오후 서울 은평구 청구성심병원에서 한 시민이 코로나19 백신 3차접종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1500명 이상이 사망했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을 "가짜뉴스"라며 일축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0일 기자단 설명회에서 "접종에 의한 사망자가 1500명 이상 발생한다는 일각의 주장은 비과학적인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손 반장은 "접종과 관련해 비과학적인 부분이 공공연하게 이야기되고 있다"며 "과학적으로 철저하게 검증한 결과 인과성이 확인된 것은 2건이며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를 포함해도 13건이다. 백신 접종으로 인해 1500~1600명이 사망했다고 하는 것은 상당히 비과학적이며 사실과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정부의 이번 반박은 이달 초 일부 지역에서 접종에 따른 사망 의심 사례가 계속된다는 주장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최근 방역패스 정책에 반대하는 한 시민단체는 예방접종으로 인한 사망 의심 사례가 1500명이 넘었고 백신의 안전성이 충분치 않다는 주장을 제기한 바 있다.


손 반장은 "전혀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내용들에 (국민들이) 귀기울이지 말기를 당부드린다"며 "각각의 사건들이 시기적으로 1~2주내에 발생하면서 예방접종으로 인해 사망한 것이 아닌지 의심이 드는 것은 이해하지만 객관적으로 조사 후 발표되는 점을 고려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검증은 우리나라만 하는 것도 아니고 세계적으로 정부 산하기구와 민간연구기관에서 반복해 검증하고 있다"며 "세계 과학계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사실은 접종에 의한 사망 사례가 특별히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예방접종피해조사반이 심의한 이상반응은 모두 4567건이며 이 중 사망 사례는 1206건이다. 이 중 백신 접종 이상반응으로 인한 사망으로 인정된 사례는 2건이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