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사 화이자가 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사진=로이터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가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지난 8월 미국 정부가 내년부터 코로나19 백신의 무상공급을 중단하고 민간 시장으로 유통하도록 언급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최근 로이터 등 현지 언론은 화이자가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주의 납품 가격을 4배가량 인상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안젤라 루킨 화이자 대표는 "투자자들에게 정부 계약이 만료되고 민간 시장을 통해 백신 공급이 전환되면 백신 1회 접종 기준 110달러(약 15만8180원)에서 130달러(약 18만6940원) 사이로 가격을 책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화이자 백신의 미국 공급 가격으로 알려진 20~30달러보다 가격이 4배 이상 높다.


화이자가 코로나19 백신의 납품가를 인상하는 이유는 미국 정부의 백신 공급 계획과 맞닿아 있다. 지난 8월 미국 행정부는 예산을 이유로 내년부터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의 무상 공급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그동안 미국 정부가 부담해오던 백신·치료제 비용을 개인에게 부담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겠다는 의미다. 글로벌 제약 전문지 피어스파마는 "미국 정부가 의회로부터 무료접종에 필요한 추가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고 코로나19 백신을 민간 시장으로 전환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 지난 9월 기준 화이자가 전 세계에 공급한 백신 물량만 37억도즈에 이른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매출은 220억달러(약 31조6800억원)에 달한다.


초점은 백신 가격 인상에 따른 접근성이다. 미국 보험사들이 수익을 명분으로 백신 계약 가격을 높게 조정할 가능성도 존재해서다. 미국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의료보험이 없는 개인이 3000만명에 달한다"며 "정부의 유료화 방침은 또 다른 사회적 문제를 촉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루킨 대표는 "가격 범위가 백신에 대한 적절한 접근과 보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도 "보험사와의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