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교원 평가의 익명성으로 인한 성희롱 등 교사들의 피해가 커지자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해당 평가 폐지를 촉구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5일 뉴시스에 따르면 평가 자유 서술식 문항에 'XX 크더라, 짜면 모유 나오는 부분이냐?' '김정은 기쁨조나 해라' 등 인권을 침해하는 답변이 달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전교조 세종지부는 성명을 내고 교사에게 폭력이 가해지는 교원평가를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교사를 지키고 보호해야 하는 학교와 교육청은 익명으로 이뤄지는 교원평가에서 가해 학생을 찾을 수 없다"며 "교사 개인에게 고통을 감내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익명 뒤에 숨어 누가 가해자인지도 모르는 가운데 교사가 수업하는 상황은 2차 피해로 심화될 수 있다"며 "많은 교사가 현장에서 외모 품평과 인격 모독적 언어폭력, 성희롱 등으로 고통받고 수치심과 함께 교직에 회의를 느끼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전교조 세종지부는 "교원평가 제도는 교사를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으로 만들었고 어떤 보호 장치도 없다"며 "문제투성이 교원평가에 문제를 제기하고 폐지를 요구했지만 교육부는 블라인드 처리나 필터링 등 눈 가리기식 대책만을 내놓으며 요구를 무시했다"고 꼬집었다.
세종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학교 측의 경찰 신고로 차후 조사 예정이며 교육청은 피해 교원에게 심리 치료 등을 지원할 것"이라며 "교원평가 시스템 문제에 대해선 교육부가 대책을 논의 중이며 해당 교사는 근무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교육부도 "사실관계를 알아보니 필터링 시스템이 완벽하게 적용되지 않았다"며 "교육청과 협의를 거쳐 필터링 시스템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교사노조는 "많은 교사가 자유 서술식 문항을 통해 인격 모욕과 성희롱을 당해 왔다"며 "서술식 문항 자체를 읽지 않는 교사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당국은 교원평가의 익명성 때문에 서술형 문항의 답변자에 대한 조사나 처벌이 어렵다고 한다"고 전했다.
전교조는 이날 성명을 통해 "피해 교사는 학교 내에서 공론화하고 성희롱 범죄 학생에게 자수할 기회를 주자고 요청했지만 학교 측은 이를 거부했다"며 "익명성에 기대 성희롱과 인권침해, 모욕성 글이 늘어나는 자유 서술식 평가는 즉각 폐지해야 마땅하며 근본 대책은 교원평가 폐지"라고 주장했다.
교원평가는 지난 2010년부터 시행됐으며 매년 교원 상호 평가와 학생, 학부모 만족도를 묻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