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지난 22일 워싱턴 백악관에서 부채한도 상향 협상을 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하원의장은 27일(현지시간) 부채한도에 잠정 합의를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2023. 5. 28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정윤영 신기림 기자 = 미국 상하원이 부채한도 합의안을 통과시킨 가운데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미국의 국가 신용 등급이 여전히 강등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정치적 양극화와 국가재정 전망을 바로잡기 위한 조치들이 미흡하다는 이유에서다.
피치는 2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미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 관찰 대상'으로 유지하면서 "최근의 '벼랑 끝 전술' 등 에피소드의 함의와 중기 재정 및 부채에 대한 전망"이 우려된다고 했다.
피치는 "향후 2년간 재정적자를 완만하게 줄이는 합의에 도달하는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미 재무부의 현금 및 특별전용 예산이 소진될 경우 재정·부채를 둘러싼 신뢰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다.
피치는 '벼랑 끝 전술' 등이 악화하는 것에 대해 "X-데이(국가 채무불이행 시한)까지 부채 한도를 둘러싼 정치적 교착 상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거버넌스의 신뢰를 떨어뜨린다"고 우려했다.
부채한도 증액 위기가 발생했던 지난 2011년 다른 신평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는 협상이 타결됐지만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원래 최고 'AAA'에서 한 단계 강등한 바 있다.
S&P는 미국의 신용등급을 여전히 두 번째로 높은 'AA+'로 유지하고 있다. 다른 신평사인 피치와 무디스는 미국 신용을 최고로 평가한다.
한편 미 하원이 지난달 31일 부채한도 합의안을 통과시킨데 이어 상원이 1일 합의안을 처리하면서 합의안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번 합의안은 31조3810억달러(약 4경2000조원)인 연방정부 부채 한도를 2025년 1월1일까지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골자다. 합의안이 통과되면 미국 재무부는 채무 이자 지급을 위해 기존 한도를 초과해 채권을 발행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