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중국이 이른바 '4불가(不可)' 방침을 전했다는 보도에 대해 거짓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11월16일 인도네시아 발리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악수하는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뉴스1
중국이 이른바 '4불가'(不可) 방침을 전했다는 보도에 대해 대통령실이 "전부 거짓"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이 우리 정부에 4불가 방침을 통보했다는 언론보도는 전부 거짓"이라며 "존재하지도 않고 있었던 대화도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중국과 북한 문제에 대해 협의할 수 있어도 중국이 우리에게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와 안보 관련 판단 사항에 대해 조건을 내걸고 그것이 돼야만 대화할 수 있다고 못 박은 적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한 매체는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장(국장)이 한·중 외교국장급 협의 당시 ▲중국의 핵심 이익을 건드리면 한·중 협력 불가 ▲한국이 친·미, 친·일 일변도 외교 정책으로 나아갈 경우 협력 불가 ▲현재와 같은 한·중관계 긴장 지속 시 고위급 교류 불가 ▲악화한 정세 아래 한국의 대북 주도권 행사 불가 등 4개 입장을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한·미 핵협의그룹(NCG)에 대해선 "연내에 NCG를 발족시켜 한 두 차례 정도는 제도화할 수 있다고 판단할 때까지 집중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자는 데 합의가 된 상태"라고 밝혔다.

해당 관계자는 "지금 계획대로 잘 된다면 여름 중에 먼저 1차 한·미 NCG를 개최하고 그 이후에 한·미·일 정상 간 만남이 성사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며 "그것과 별도로 한·미·일 미사일경보정보 연동 체계는 올해 안 완성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