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전국 빈집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한다. 빈집의 체계적인 정비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설명이다. /사진=뉴스1
그동안 도시와 농어촌의 빈집 발생원인, 정비 방향 등의 차이로 인해 빈집제도는 별도로 규정됐다. 이에 지자체의 빈집 실태조사와 정비계획 수립에 어려움이 있었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판정된 빈집 수와도 차이가 있어 혼선이 발생했다.
세 부처는 '빈집 관리체계 개편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빈집의 기준과 평가항목을 통일하고 전국 빈집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해 빈집의 체계적 정비를 위해 정확한 빈집 현황 파악의 토대를 마련했다.
빈집실태조사를 통해 파악된 빈집(활용·관리·정비로 3등급 구분)정보를 알 수 있는 빈집정보시스템을 통합 구축해 전국 빈집에 대한 현황, 시·군별 통계 등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각 지자체의 빈집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빈집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