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매체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최근 지나치게 공격적인 발언을 이어가 지원 세력으로부터 불만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 21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 상원의원들을 만나기 위해 국회의사당을 방문한 모습. /사진=로이터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주 유엔 총회 참석 및 미국 정계 지도자들의 만남을 위해 미국 뉴욕과 워싱턴을 방문했다. 지난 24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19일 유엔 총회에서 곡물 수출 문제와 관련해 유럽 국가들을 강력히 비난했다. 그는 "정치적 연극으로 결속을 표현한 우리의 유럽 친구들 중 일부가 우크라이나로부터 농산물 수입을 제한함으로써 러시아 배우를 위한 무대 마련을 도왔다"며 지적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농산물 수입을 제한하고 있는 유럽연합 3개국인 폴란드·헝가리·슬로바키아에 대해 사실상 러시아를 도왔다고 표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자 우크라이나의 가장 강력한 지원국으로 꼽히는 폴란드가 즉각 반발했다. 지난 20일 폴란드의 모라비에츠키 총리는 자국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더 이상 무기를 제공하지 않겠다"며 무기 공급 중단을 선언했다. 대신 자국의 방위에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폴란드는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에 200대 이상의 탱크를 보냈으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중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에 전투기를 공급한 바 있다. 폴란드는 또 자국 영토 내 160만명 이상의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수용하고 있으며 수십억달러 규모의 지원금을 제공했거나 약속해둔 상태다.
폴란드 측의 강경한 대응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한 풀 꺾인 모습을 보였다. 폴란드 총리가 무기공급 중단을 선언한 다음날인 지난 21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워싱턴에서 "미국과 폴란드의 지원에 크게 감사하다"며 지난 발언을 수습했다.
폴란드의 모라비에츠키 총리는 지난 22일(현지시각) 폴란드 정치 집회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유엔 연설 내용을 직격했다. 사진은 모라비에츠키 총리가 지난 7월5일 폴란드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