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 출생아 수가 1만9102명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서울 용산구의 한 어린이집에서 선생님과 아이들이 외출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머니투데이
7월 출생아 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하면서 올해 안에 합계출산율이 0.6명대로 떨어질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28일 통계청의 '7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2023년 7월 출생아 수는 1만9102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73명(6.7%) 감소했다. 해당 통계가 작성된 1981년 이후 7월 기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10월부터 10개월째 감소 중이다. 7월 기준으로 살펴보면 출생아 수 2만명 선이 처음으로 무너졌다.


지역별로 보면 충북을 제외한 16개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감소했다. 충북의 경우 지난해 혼인 건수가 크게 늘면서 이례적으로 출생아가 많았다.

계속해서 출생아 수가 줄면서 올해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이 역대 최저를 기록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지난해 연평균(0.78명)보다 높았다. 하지만 2분기 다시 0.70명으로 떨어졌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0명 이하인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보통 출생아 수는 1분기에 가장 높고, 2분기에 줄었다가 3분기 잠시 반등한 뒤 4분기에 가장 적은 수준을 보인다. 이런 흐름을 고려할 때 4분기에는 합계출산율이 0.6명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는 예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