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열린 한반도국제포럼(KGF)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통일부 제공)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와 밀착을 통해 북한 비핵화를 위한 국제공조 체제를 흔들려고 하고 있다"면서 국제사회가 단결해 북한이 비핵화 협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전략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장관은 29일(현지시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열린 한반도국제포럼(KGF) 기조연설에서 "북한은 한국과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으로 인해 체제 보장을 위해서는 핵과 미사일 개발이 불가피하다고 억지 주장을 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북한의 WMD(대량살상무기) 개발은 독재와 세습으로 대표되는 북한 지배체제의 안정만을 위한 것"이라면서 "한국 정부는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이 아닌 대화와 협력을 통한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 번영을 추구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8월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개최된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뜻을 모았고 영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도 입장을 같이하고 있다면서 "중국과 러시아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건설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주기를 바란다"라고 촉구했다.
김 장관은 북러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이 군사협력을 강화하려는 동향이 있다면서 "북한과 러시아가 유엔 안보리 결의 등을 위반하여 무기 거래와 군사 기술 이전 등을 추진한다면 한반도는 물론 세계 평화의 불안정성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 장관은 "영국 정부는 북한을 '인권 우선국'으로 지정하고 의회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북한 실상을 알리며 왕실에서 탈북민을 초대하는 등 북한인권 개선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면서 북한 인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도 당부했다.
그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북한인권) 로드맵을 수립해 한국 정부와 민간단체, 국제사회가 함께 힘과 지혜를 모을 수 있도록 하고 영국을 비롯한 세계의 북한인권을 위해 노력하는 유력인사들의 고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