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오후 단식 후 회복을 위해 입원 중인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에서 홍익표 신임 원내대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더불어민주당 제공
국민의힘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을 두고 "떼쓰기"라며 "정치공세이자 또 다른 방탄 전략"이라고 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1일 오전 논평을 내 "느닷없는 영수회담 제안으로 사법리스크에 집중된 여론을 희석시키려는 얄팍한 속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강 대변인은 "민주당은 이 대표 방탄을 위해 국회를 하루도 빠짐없이 열어야 한다더니, 전략이 바뀌자 어느 순간 회기를 쪼개는 것도 서슴지 않았다"며 "그도 여의치 않으면 국무위원의 탄핵이든, 해임이든 목소리를 높이며 거대의석을 무소불위 권력으로 사용했다"고 했다.


강 대변인은 이어 "구속영장 기각에 대한 아전인수식 해석으로 마치 무죄라도 선고받은 양 다시 방탄대오를 갖추기 시작한 민주당과 이 대표가 '민생'을 입에 올릴 자격이나 있는가"라며 "진짜 민생을 위한다면 자신의 체포동의안 가결로 90여 개 법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국민께 사과하고, 일하는 국회로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했다.

2019년 5월 문재인 정부는 당시 야당이던 자유한국당의 영수회담을 거절하며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담을 역으로 제안한 바 있다. 민주당 대표는 물론이고 정의당 등 소수당 대표까지 모두 함께하자는 취지였다. 이는 의도적으로 보수 야당의 목소리를 축소하기 위한 정치적 노림수라는 해석도 나왔다.

이날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의장도 당시 상황을 거론하며 "민주당은 영수회담을 두고 여당 때는 구시대 유물이라고 거부하더니, 야당 때는 외상값 맡겨놓은 것처럼 재촉한다"고 비판했다.


박 의장은 "홍 수석대변인은 '정당은 각 당대표와 원내대표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국회 정상화를 위해서는 각당 대표, 원내대표가 회동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하기도 했다"며 "홍 수석대변인 말대로 영수회담이 아니라 김기현 국민의힘 대가 제의한 여야 대표회담부터 갖는 게 바람직 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최근 "최소한 12월 정기국회 때까지 정쟁을 멈추고 민생 해결에 몰두하자"며 윤석열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