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만성 콩팥병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12년 13만7003명에서 2022년 29만6397명으로 10년 새 2배 넘게 증가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국내 만성 콩팥병 환자가 지속해서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만성 콩팥병(질병코드 N18)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12년 13만7003명에서 2022년 29만6397명으로 10년 새 2배 넘게 증가했다. 만성 콩팥병은 원인과 관계없이 콩팥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1%(남자 10.4%·여자 11.8%)가 만성 콩팥병 환자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만성 콩팥병은 콩팥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1~5단계로 분류한다. 단계는 주로 GFR(사구 여과율)이라는 콩팥의 여과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말기(5단계)가 되면 투석이나 이식 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하다.
콩팥 손상이나 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노화'다.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면 그 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다. 정상인도 40대 이후부터는 매년 사구체여과율이 1mL/min/1.73㎡ 가량 노화로 인해 감소하게 된다. 혈관에 손상을 유발하는 당뇨병, 고혈압을 오래 앓거나 콩팥에 손상을 유발하는 사구체신장염이 있으면 기능 저하가 더 빨리 발생할 수밖에 없다.
만성 콩팥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사와 전문가 상담이 중요하다. 진행단계별 적절한 치료법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정기적인 검사와 전문가 상담을 통해 개인별 상황에 맞는 관리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약물은 콩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남아 있는 콩팥 기능에 따라 피해야 할 약물을 잘 알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식품이나 보조제 역시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은 콩팥의 추가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혈압을 정상 범위 내에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염식은 반드시 필요하고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조절이 콩팥 기능에 중요하다. 혈당을 정상 범위 내에 유지하면 콩팥의 손상을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다. 체중 관리는 혈압과 혈당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려면 균형 잡힌 식단과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다.
이상호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콩팥 기능이 떨어지는 정도에 따라 단백질, 칼륨, 인 등은 특정 영양성분의 섭취를 제한해야 할 수 있다"면서도 "남은 콩팥의 정도에 따라 환자별로 그 정도는 크게 달라지므로 반드시 전문가 조언을 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루 4~6잔의 충분한 수분 섭취는 중요하지만 심한 콩팥 기능 저하 시 너무 많은 물을 섭취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알코올은 적당히 섭취해야 하며 흡연은 콩팥 손상을 가속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