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해수 방사능 연속 감시시스템을 우리나라 영해기점인 완도 여서도에 시범 설치했다./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지난 8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따른 해수 방사능 오염 안전성 검증을 위해 해수 방사능 연속 감시시스템을 우리나라 영해기점인 완도 여서도에 시범 설치했다고 4일 밝혔다.
실시간 방사능 연속 감시시스템은 무인으로 24시간 자동 운영될 예정이며, 감마핵종(세슘·요오드)과 베타핵종(삼중수소) 방사능 농도를 실시간 검사한다.

검사 결과는 현장 설치 모니터를 통해 관광객과 주민에게 실시간으로 알리고, 전남도와 완도군에도 전송돼 문제 발생 시 즉각적 대처 능력 강화가 기대된다.


현재 전남지역 59개소(연안 48·원근해 11)에서 추진하는 해양 방사능 검사의 경우 해수 채취를 위한 정점 이동, 채취, 방사능 검사, 결과 발표 과정에 최소 1회당 평균 4일 이상의 기간과 인력·비용 등이 필요하다.

하지만 실시간 해수 방사능 연속 감시시스템 설치로 효율적 검사가 가능해질 뿐 아니라 기상 여건이나 해양 환경에 영향 없이 검사할 수 있다.

최정기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앞으로도 일본 원전 오염수와 관련 수산물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해 국민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소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생산수산물 검사를 전 품종, 1200건 이상으로 확대했다. 유통 전 산지 위판장 19개소에서 방사능 검사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