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사진=한국관광공사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는 한국 출판문화 발전을 위해 설립된 대규모 복합 문화 공간이다. 자연 생태와 건축의 조화가 돋보이는 건물로 2004년 제14회 김수근 건축 문화상을 수상했다.
이벤트광장, 아시아광장, 물의 정원 등 야외 공간에서는 마당극, 퍼포먼스, 음악회, 조각 전시 등이 펼쳐진다. 예술가들에게는 대안적 창조공간으로, 대중에게는 휴식의 자리로 주목받는다.
활판공방. /사진=한국관광공사
납으로 자모(字母)를 일일이 만드는 주조(鑄造)부터 시작해 약 60만자가 들어찬 활자 선반에서 자모를 골라내는 채자(採字), 자모를 배열하는 식자(植字·조판)와 인쇄·접지·제본에 이르기까지 활판 인쇄의 전 과정이 한 공간에서 거의 모두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있다.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 /사진=한국관광공사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은 건축 자체로 전시 이상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공간으로 자리했다. 개관 전부터 각종 해외 매체에 소개됐으며 국내외 건축가들에게 유명한 장소다. 현재 기획전시로 'Objet, Object, Objection'을 개최하고 있다. 나의 사물이나 대상이 개념으로 나아가는 과정 그리고 그 개념을 뒤엎고자 하는 작가들의 실험을 보여준다.
헤이리 예술마을. /사진=한국관광공사
건축가들은 페인트를 쓰지 않고 지상 3층 높이 이상은 짓지 않는다는 기본 원칙에 따라 자연과 어울리는 건물들을 설계했다. 안과 밖이 구분되지 않는 건물, 지형을 그대로 살려 비스듬히 세워진 건물, 사각형의 건물이 아닌 비정형의 건물 등 각양각색의 건축물들이 사이를 산책하는 것을 추천한다. 걷다가 마주치는 미술관에 들어가는 것도 좋다. <자료=한국관광공사>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