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영상위가 제시한 3대 목표/사진=부산영상위
부산영상위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책임있는 역할을 다하며 글로벌 영화·영상 산업도시 부산을 완성하는 세계 일류 수준의 영상위원회로 발돋움해 나갈 예정이라면서 한아세안협력기금을 포함한 올해 예산 총 94억1200만원을 확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전체 규모 면에서는 작년 대비 19억1600만원이 감소한 것이나, 이는 21 9000만원 규모의 3D프로덕션센터 운영 사업이 작년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기 때문이다.
올해 부산영상위원회 예산은 필름커미션 본질적인 기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위한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만드는데 중점을 두고 편성되었다.
먼저, 부산 지역의 로케이션 경쟁력 고도화를 위한 변화가 눈에 띈다. 로케이션 인센티브 사업 예산을 확대하고, 부산지역 제작사 작품 쿼터 지원을 도입해 지역 제작사의 꾸준한 작품 제작을 위한 새로운 지원책을 마련했다. 또한 로케이션 사진이 가지는 제한적 공간 정보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장감과 공간감 있는 DB 제공을 위해 VR 특수촬영을 진행하고 로케이션 DB 다각화를 추진한다.
특히 올해는 경쟁력을 갖춘 차별화된 로케이션 유치 전략을 마련하여 부산이 영화·영상산업 중심지로 한 단계 도약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와 함께 지역 콘텐츠의 적극적 육성을 위한 부산만의 원스톱 서비스 지원망을 다진다. 스토리 IP 비즈니스가 나날이 성장함에 따라 기존의 부·울·경 스토리 IP 공모전 사업 등 IP 개발 지원을 더욱 확대한다. 동시에, 개발된 콘텐츠의 제작 및 유통 경쟁력 확보를 위한 펀드 조성과 유통·배급 사업을 신설하여 콘텐츠 상용화에 힘쓸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부산영상위위원회가 운영 중인 부산영화촬영스튜디오, 부산영상후반작업시설, 부산아시아영화학교 등 기존 인프라의 활용도를 확장하고 내실화한다. 부산영화촬영스튜디오는 XR테크랩 인프라를 활용한 지역 성장기업의 실감 콘텐츠 제작 지원 및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이어 나간다. 또한 AI 기반의 버추얼 프로덕션 제작시스템 연계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부산아시아영화학교는 2024년도 국제 영화비즈니스 아카데미에 '비즈니스'과정을 처음으로 특별편성했다. 해당 과정은 영화·영상분야의 비즈니스 실무 전문가인 총괄 프로듀서(Executive Producer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정책 전문가, 기업 실무자 양성에 특화된 과정이다.
부산영상위원회 강성규 운영위원장은 "올 한 해 부산영상위원회는 지역 영화·영상산업 구조를 촘촘히 메꾸고자 한다"라며 "지속가능한 성장과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부산영상위원회 부산의 영화·영상산업을 주도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