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로봇심판 스트라이크존이 확정됐다. 사진은 로봇심판이 도입된 고교 야구 경기 모습. /사진= 뉴스1
올해부터 도입되는 한국 프로야구 로봇 심판의 스트라이크존이 확정됐다.
25일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지난 24일 2024년 제1차 실행위원회를 열고 자동 투구 판정 시스템(ABS) 및 피치 클락(시범 운영)에 대한 세부 운영 규정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ABS의 좌우 기준은 홈플레이트 양 사이드에서 2㎝씩 확대한다. 규칙상의 스트라이크존에 대한 ABS의 정확한 판정으로 볼넷이 증가하는 것을 막고 현장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메이저리그(MLB) 사무국이 마이너리그에서 ABS를 운영할 때 양 사이드 2.5㎝씩 확대 운영한 사례도 참고했다.


상·하단 기준은 홈플레이트의 중간 면과 끝 면 두 곳에서 공이 상하 높이 기준을 충족 통과해야 스트라이크다. 포수 포구 위치, 방식 등은 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높이는 선수별 신장의 비율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기존의 심판 스트라이크존을 고려해 상단은 선수 신장의 56.35%, 하단은 27.64% 위치가 기준이 된다.

피치클락 규정도 확정했다. 투구 간 시간제한은 주자가 누상에 없을 시 18초, 있을 시 23초를 적용한다. 메이저리그는 각각 15초, 20초로 제한된다.투수는 타자와 다음 타자 사이에 30초 이내에 투구를 해야 한다. 포수는 피치클락의 잔여 시간이 9초가 남은 시점까지 포수석에 위치해야 한다.


타자는 8초가 남았을 때까지 타격 준비를 완료해야 한다. 이를 위반할 시 수비 측에는 볼, 공격 측에는 스트라이크가 선언된다. 피치클락 규정의 적용을 회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도 마련됐다. 타자의 타임 횟수는 타석당 1회로 제한된다.

수비팀에는 '투구판 이탈 제한' 규정이 적용된다. 견제 시도, 견제구를 던지는 시늉, 주자가 있을 때 투구판에서 발을 빼는 경우 등이 해당한다. 이외에도 수비팀의 타임 요청, 허용되는 시간 외의 포수의 포수석 이탈, 투수의 공 교체 요청 등도 투구판 이탈로 간주한다.

투구판 이탈은 타석당 세 차례까지 허용되며 네 번째 이탈 시에는 보크가 선언된다.

KBO는 ABS와 피치클락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안정화하고, 빠른 적응을 위한 안내 자료 배포 및 설명회 개최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