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오름세를 나타내며 2개월 연속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 사진은 11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 지역의 모습. /사진=뉴시스
12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매매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 매매 중 46%는 종전 거래가격보다 오른 가격에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서울의 상승 거래 비중은 지난 6월 50.3%, 7월 51.7%로 2개월 연속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자치구별 상승 거래 비중이 50%를 넘어선 지역도 확산하고 있다. 지난 5월 4개 구에서 지난 6월 14개 구로 크게 늘었고 7월에도 17개 구로 늘며 서울 전역으로 오름세가 확산하는 분위기다.
경기는 상승 거래 비중이 7월 46%를 차지했다. 7월에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지역은 9곳으로 6월(4곳)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경기에서 인기가 높은 과천시와 성남시 분당구는 6월에 이어 7월에도 거래 중 절반 이상이 상승 거래로 이뤄졌다. 8호선 별내선 연장이나 지하철 3호선 연장 소식 등에 따라 구리시와 하남시도 7월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겼다.
인천은 상승 거래 비중이 7월 44.7%를 나타냈다.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지역은 미추홀구 한 곳으로 집계됐다. 수인분당선과 서울 지하철 1호선 주변의 6억원 미만 대단지 아파트가 실수요를 이끌며 거래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대전·부산·세종·울산 등 광역시와 특별자치시는 상승 거래 비중이 절반 이상인 곳이 없었다. 미분양이나 신규 입주 물량 등의 영향에 따라 기존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직방 관계자는 "'똘똘한 한 채'를 찾아 서울 외지인 거래가 증가해 쏠림 현상이 심화하는 분위기"라며 "부동산 거래시장의 회복보다 수급과 선호 등에 따라 지역·단지의 선호도가 쏠리는 양극화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