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후 1시48분 기준 한빛레이저 주가는 전일 대비 285원(7.80%) 오른 39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정부에 따르면 이병화 환경부 차관 주재 회의에서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소방청 등 각 부처들의 대책 방향을 논의하고 다음날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회의 주체를 격상해서 다시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업계 의견 수렴 등 후속 절차를 거쳐 내달 초 전기차 화재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 대책에는 배터리 제조사별로 안전성을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방안,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 의무화, 과충전 방지 완속 충전기 보급 확대 및 지하 주차장 차량 화재 진압 장비 구비 의무화 등이 담길 예정이다.
앞으로 '배터리 여권' 제도 도입을 서두르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배터리 여권이란 배터리의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 등 모든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해 관리하는 제도다. 배터리 안전성 극대화와 책임 있는 재활용이 가장 큰 목적이다.
오는 2027년까지 배터리 전주기 이력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기차 배터리 탈거 전 성능평가 등의 제도를 마련하고 관련 입법을 진행 중이다. 배터리 이력 정보를 신청·공유할 수 있는 통합 포털을 통해 배터리 제조부터 전기차 운행 및 폐차, 배터리 재활용까지 전 주기 이력정보를 관리할 예정이다.
한빛레이저는 고출력 산업용 레이저 기술을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했다. 회사의 주력 제품은 배터리 조립 공정에 사용하는 셀 추적 레이저 마킹 시스템(아이스캔 마커)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제조 공정 중 제조품의 이력 추적을 목적으로 마킹을 진행하는 제품이다.
바코드에는 생산공장과 생산일자를 포함해 생산설비, 등의 정보가 담긴다. 이와 관련해 회사는 "현재 이차전지 및 자동차 제조에 있어 공정상 이력에 대한 관리 및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으로 제품의 불량요인을 판별하고 감시할 수 있는 이력마킹의 필요성은 향후 전방산업에 필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배터리 분야 고객사는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이 있고 자동차 분야 고객사는 현대차, 기아 등을 두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