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상당수가 퇴사고민을 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머니투데이 김현정 디자인기자
31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른 결과에 따르면 현재 일을 하고 있다고 답한 엄마(워킹맘)의 비율은 78.4%를 차지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이달 21일부터 25일까지 고등학생 이하 자녀가 있는 여성 677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윤선생이 2017년 고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여성 5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워킹맘 비율은 53.8%였다. 7년만에 워킹맘 비율은 24.6%포인트 상승했다. 약 1.5배 증가한 수치다.
워킹맘 10명 중 8명 이상(83.8%)은 일을 그만두는 것을 고민해본 적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일을 그만두고 싶었던 때(복수응답)를 묻자 '아이가 갑자기 아플 때'(60.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직접 공부를 챙겨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57.5%)가 그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아이에게 미안하고 죄책감이 들 때'(50.8%) 순이었다. 이외에도 '육아와 일 모두 제대로 못하는 것 같을 때'(47.9%),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쳤을 때'(37.1%) 등이 있었다.
그럼에도 계속 일하고 있는 이유(복수응답)는 '경제적인 사정'(83.6%) 때문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2위는 '경력 단절을 원치 않아서'(41.1%), 3위는 '자아 실현을 위해'(13.9%)였다.
또 이들 가운데 56.2%는 '앞으로 일을 그만둘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자녀가 평균 나이 8.9세일 때를 가장 적절한 시기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일을 하지 않는 엄마(전업맘)의 79.5%는 '과거 육아 때문에 일을 그만둔 적이 있다'고 답했다. 당시 일을 그만둔 배경에는 '자발적 사유'(68.1%)가 주변의 권유 등 '비자발적 사유'(31.9%)보다 많았다.
또 73.3%는 '향후 다시 일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다시 일하고 싶은 이유(복수응답) 1위는 '아이가 어느 정도 커서'(71.8%)였다. 2위 '경제적인 사정'(57.6%), 3위는 '이제 나를 위해 살고 싶어서'(36.5%)가 차지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전원에게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물었다. 그 결과, 자녀가 있는 여성 2명 중 1명(49.5%)이 '유연근무, 재택근무 등 부모의 직장 내 근로시간의 유연성'을 1위로 꼽았다.
다음으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이후 복직 의무화'(14.5%), '늘봄학교 등 공교육의 자녀 돌봄제도 확대 및 강화'(12.6%), '등∙하원 도우미 등 자녀 돌봄서비스 비용 절감 및 공제 제도 강화'(9.9%) 순이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