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내년 예산안 5559억을 편성해 이 가운데 1186억원을 노후 장비 교체에 투입한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행정전산망 장애 발생 당시 서울시의 한 구청 종합민원실 전산기에 네트워크 전산망 장애 안내문이 붙어있던 모습. /사진=뉴시스
9일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따르면 범정부 정보 자원의 효율적 구축과 안정적 운영·관리 등을 위해 2025년 예산안에 이 같은 장애 예방 예산을 포함한 총 5559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올해 예산(5184억원) 대비 375억원(7.2%) 증액된 규모다. 센터 완공으로 사업이 축소되는 대구·공주 센터 예산을 제외하면 679억원(14.2%) 늘어난다.
내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예산안은 행정 전산망 장애 재발 방지를 위한 예산 1186억원이 반영됐다. 노후돼 장애 발생 위험도가 높은 장비 교체 예산은 1096억원으로 올해 대비 251억원(30%) 증액됐다.
국민 생활과 밀접한 1등급 대국민 행정 서비스 중심으로 사용 기간이 지나 장애 발생 비율이 높은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 장비 교체에 981억원이 투입된다.
장애 발생 시 모든 행정·공공 기관에 영향이 있거나 다수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 마비로 이어질 수 있는 국가 정보통신망 네트워크 장비 등 공통 장비 교체에 투입되는 예산은 115억원이다.
노후 장비 교체와 함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범정부 장애 관리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를 위한 60억원도 새로 반영된다. 장애 발생 시 즉시 가동할 수 있는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을 위해 30억원도 편성했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국민이 디지털 정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