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와 의대 교수단체는 정부를 향해 의대증원 취소와 2027년 의대정원 논의를 촉구했다. 사진은 지난달 31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2024 임시대의원총회에서 참석자들이 의대증원 저지·필수의료 패키지 대응·간호법 저지 구호를 외치는 모습. /사진=뉴스1
9일 뉴스1에 따르면 의협은 이날 의료정상화를 위한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정부는 2025년을 포함해 모든 증원을 취소하고 2027년 의대 정원부터 양자가 공정하게 논의하자"고 밝혔다. 이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등 국민 폐해가 확실한 정책 모두를 폐기하고 의료 정상화를 위해 진정성을 갖고 대화에 임하자"며 "증원 백지화는 전공의 복귀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의협은 "2년 미뤄도 7년 후 영향은 의사 수 2% 정도에 불과하다. 사회적 비용은 매우 적다"며 "증원을 강행하면 교육은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없다. 내년 신입생도 휴학에 동참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고 전했다.
아울러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정부에 합리적인 방안 제시를 호소했다.
비대위는 "정부가 과학적 분석에 기반한 의료인 수요 추계를 제시해야 한다"며 "정부가 과학적 수급 분석을 근거로 필요한 증원을 결정했다면 그 근거를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추석 연휴를 앞두고 불거진 응급실 운영난에 대해 "응급진료 의료진에게 최종 치료의 책임까지 묻는 민·형사소송 부담부터 해소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필수 의료 전문의의 적정 수 고용을 보장해 배후진료를 강화해달라"며 "응급환자 발생 시 응급구조사가 현장의 실시간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시스템을 구축하라"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