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비염 관리법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9일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코안에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콧물, 코막힘, 재채기, 코 간지럼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일부 환자는 두통과 눈의 출혈 및 간지러움을 겪기도 한다.
알레르기 비염은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등 환경적 요인이나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담배 연기나 감기 등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하기도 한다. 춥고 건조한 날씨인 환절기에는 호흡기가 예민해지면서 알레르기 비염이 더 많이 나타난다. 가을에는 쑥, 돼지풀 등 잡초 꽃가루 농도가 높아 특히 주의해야 한다.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실내를 청결히 유지해야 한다. 집먼지진드기 등 알레르기 비염을 일으키는 항원(원인 물질)을 실내에서라도 제거하는 게 좋다. 냉난방기 사용 시 실내 온도가 급격히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알레르기 비염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도 알레르기 비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외출 시 되도록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자. 마스크를 착용하면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 증상도 완화할 수 있다. 꽃가루가 많이 날리거나 대기질이 좋지 않은 날에는 바깥 활동을 줄이는 것도 알레르기 비염 증상 완화 방법 중 하나다.
비염의 원인 및 악화요인을 점검하는 것도 필요하다. 환자마다 알레르기 비염 원인이 되는 항원의 종류가 다르고 이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달라질 수 있다. 피부시험이나 혈액 검사를 통해 알레르기 비염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원인 항원을 피하는 것이 알레르기 비염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
질병청은 "알레르기 비염은 가벼운 질환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리는 만성질환"이라며 "알레르기 비염이 심한 사람의 상당수가 자신의 증상을 잘 모르고 내버려 두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알레르기 비염을 꾸준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합병증과 천식을 예방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