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응답형 교통수단이 교통 소외지역의 이동권을 보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은 셔클이 대부도 일대를 주행 중인 모습.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가 14일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경찰청사에서 경찰청,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와 '고령자 이동권 교통안전 및 이동권 보장을 위한 다자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최근 농어촌 등 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의 고령화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어도 마땅한 대체 교통수단이 미비해 면허 반납률은 저조한 상황이다. 이에 현대차가 운영하는 수요응답 교통인 '셔클'(Shucle) 플랫폼의 확대 도입을 통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겠다는 것이다.
협약에 따라 경찰청은 고령운전자 운전면허 자진 반납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수요응답형 버스를 도입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예산 확대를 추진한다.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는 각 지자체가 수요응답형 버스 도입을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고 시범운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대자동차는 지방자치단체의 셔클 서비스 도입을 위해 컨설팅, 시범운영차 등 인적·물적 자원을 지원한다.
셔클 플랫폼은 승객들의 수요에 맞춰 AI 알고리즘 기반 최적의 이동 노선을 생성한다. 실시간으로 경로를 유연하게 변경 운행해 대중교통 접근이 제한적인 농어촌 지역에서도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다.
현대자동차의 셔클 플랫폼은 2020년 2월부터 세종시를 포함한 45개 지역에서 수요응답형 서비스차를 운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