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일 판교에서 열린 반도체 클러스터 포럼에서 반ㄷ체 산업 지키고 키우기 위한 3대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김 지사는 10일 판교에서 열린 '반도체 클러스터 포럼'에서 "비상한 시국에 정치가 경제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된다"며 "주력 산업인 반도체와 바이오, 첨단 모빌리티,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미래 먹거리 산업의 육성과 민생 살리기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특히 경제 살리기와 관련해 "반도체 산업은 수출의 20%, 설비투자의 42%를 책임지는 핵심 전략산업이자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라면서 반도체 산업을 키우기 위한 3대 비전을 제시했다.
먼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지난 2년 동안 경기도는 34조5000억원을 반도체 산업에 투자했고 세계 4대 반도체 장비 업체의 연구개발(R&D) 센터를 경기도에 유치했다"며 "도내에 2047년까지 482조원을 투자하는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도 조성 중"이라고 말했다.
독자적인 반도체 밸류체인 구축에도 나선다. 김 지사는 "경기도는 미래산업 육성을 위해 1조2000억 규모의 G-펀드를 이미 조성했다"면서 "이를 통한 자금 지원과 인프라 구축, 재생에너지 공급에 역점을 둬 시스템반도체를 집중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또 하나의 비전은 혁신적인 반도체 생태계 조성이다. 김 지사는 "ASM이나 ASML을 포함한 반도체 유수 기업들은 모두 다 우리의 용수, 전력 공급에 더해서 인력 확충을 가장 중요한 문제로 꼽고 있다"며 "경기도는 산업현장 수요에 맞는 2000명의 창의적 인재 양성을 올해 주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