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강남에서 거래된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가 25억원을 넘어 도봉구와 5배의 격차가 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서울 강남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3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연희 의원(더불어민주당·충북 청주시흥덕구)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에서 제출받은 '2024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초구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는 25억1800만원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비쌌다.
서초구에 이어 강남구는 24억8300만원, 용산구는 22억5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초구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는 지난해 1월 21억3600만원에서 같은해 8월 27억2500만원까지 치솟았다. 이후 9~11월 25억원대로 소폭 조정됐지만 12월에는 27억5900만원으로 다시 올랐다.
강남구도 지난해 8월 26억9300만원에서 9월 25억 2200만원으로 잠시 떨어졌지만 10월부터는 26억원대로 올라 서초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용산구는 같은해 9월 29억1000만원으로 30억원대를 바라봤지만 이후 떨어져 12월 20억7300만원으로 평균 실거래가가 마무리됐다.
이밖에 서울에서 평균 실거래가가 가장 싼 지역은 도봉구(5억5400만원)로 나타났다. 이어 ▲강북구(6억700만원) ▲노원구(6억1000만원) ▲금천구(6억2100만원) ▲중랑구(6억2800만원) 등 비강남권 자치구에서는 평균 10억원을 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전체 25개 자치구 가운데 12개 구에서 평균 실거래가 10억원 이하로 집계돼 강남권과 비강남권의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진 양상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