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동구 아파트 신축 현장/사진=머니S DB.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광주 미분양 주택은 1234가구로 한달전(1242가구) 대비 0.6%(8가구)가 감소했다. 전남은 3447가구로 전월(3598가구)보다 4.2%(151가구)가 줄었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광주는 415가구로 한달전과 같았고 전남은 2445가구로 전월(2450가구)보다 0.2%(5가구)감소했다. 새해들어서도 분양시장이 사실상 개점 휴업에 들어가 미분양 물량은 늘어나지 않은 모습이다.
그러나 봄 분양시장이 기지개를 켜게되면 올 상반기 이후 주춤하던 미분양 물량은 다시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3000가구 수준의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하기로 해 직접적인 미분양 물량이 감소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미분양 문제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광주지역의 한 공인중개사는 "지금은 지방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려는 수요 자체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수요자를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적극적인 지원 방식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주택을 거래할 때 소요되는 취득세, 양도세에 대한 적극적인 완화, 민간임대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금융과 세제적인 파격적인 혜택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지역민의 주거 안전을 위해 지방 미분양 아파트 구입 고객들에 대한 은행권의 역할도 주문했다.
이 공인중개사는 "BNK경남은행의 경우 올해 말까지 지방 미분양 아파트 구입 고객에게는 우대금리 감면과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혜택 등을 지원한다"며 "광주은행도 미분양 주택 해소를 위한 다양한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광주상의도 지난해 광주지방국세청장과의 간담회에서도 지방 미분양 적체 해소를 위한 세제지원 등을 건의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