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제2차 노사민정협의회 회의에 참석,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 노사민정협의회가 지역 상생형 일자리 모델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사 갈등 해결을 위한 조정·중재안을 제시했다.
노사민정협의회는 2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2025년 제2차 노사민정협의회'를 열고 조정·중재안을 GGM 노사와 광주시에 전달했다.

이는 GGM의 노사 갈등이 지역 사회의 위기감으로 확산됨에 따라 지난 1월 구성된 조정·중재특별위원회가 총 9차례 회의와 8개 기관·단체 의견 청취를 거쳐 마련한 합의안이다.


조정·중재 특위는 GGM 경영진과 노동조합 모두에게 △노사민정 대타협 GGM 설립정신을 담은 노사 상생발전 협정서 준수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한 컨설팅 등 노사문화 개선 방안 마련을 권고했다.

GGM 경영진에게는 △노조와 상생협의회 활동에 필요한 사무실 제공 △조합비 일괄공제(Check-off) △단체교섭 시 근로시간 면제 범위 확대(4시간→8시간) △공급 물량 확대(2교대 도입) 신규 모델 도입 등 비전 제시 △공동근로복지기금 확대를 주문했다.

GGM 노조에는 △35만대 생산 목표 달성 때까지 파업 유보로 고용 안정 △노사 상생협의회의 역할 존중 △35만대 생산 목표 조기 달성을 위한 2교대 근무 적극 협력을 권고했다.


광주시에는 △공동복지프로그램 적극 이행 △공동근로복지기금 증액으로 실질적 복지 확대 △물가·주거비 상승률을 반영한 주거지원비의 현실적 수준 지원 △GGM 갈등 현안 모니터링을 위한 노사민정협의회 산하 상설기구 설치를 요청했다.

노사민정협의회는 이날 조정·중재안을 확정한 뒤 GGM 노사와 광주시에 전달하고 성실한 이행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임태호 조정·중재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조정·중재안은 상생·화합·미래지향의 3대 원칙하에 당사자 간 공멸을 막고 광주시민과 함께 약속한 노사민정 대타협의 정신, 세계 속 GGM으로 나아가는 미래지향의 정신을 담았다"며 "GGM의 지속할 수 있는 밝은 미래를 위해 조정·중재안을 GGM 노사가 적극 수용해 사회적 대타협을 이루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