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2025년 제2차 노사민정협의회 회의에 참석,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2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2025년 제2차 노사민정협의회'를 열고 조정·중재안을 GGM 노사와 광주시에 전달했다.
이는 GGM의 노사 갈등이 지역 사회의 위기감으로 확산됨에 따라 지난 1월 구성된 조정·중재특별위원회가 총 9차례 회의와 8개 기관·단체 의견 청취를 거쳐 마련한 합의안이다.
조정·중재 특위는 GGM 경영진과 노동조합 모두에게 △노사민정 대타협 GGM 설립정신을 담은 노사 상생발전 협정서 준수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한 컨설팅 등 노사문화 개선 방안 마련을 권고했다.
GGM 경영진에게는 △노조와 상생협의회 활동에 필요한 사무실 제공 △조합비 일괄공제(Check-off) △단체교섭 시 근로시간 면제 범위 확대(4시간→8시간) △공급 물량 확대(2교대 도입) 신규 모델 도입 등 비전 제시 △공동근로복지기금 확대를 주문했다.
GGM 노조에는 △35만대 생산 목표 달성 때까지 파업 유보로 고용 안정 △노사 상생협의회의 역할 존중 △35만대 생산 목표 조기 달성을 위한 2교대 근무 적극 협력을 권고했다.
광주시에는 △공동복지프로그램 적극 이행 △공동근로복지기금 증액으로 실질적 복지 확대 △물가·주거비 상승률을 반영한 주거지원비의 현실적 수준 지원 △GGM 갈등 현안 모니터링을 위한 노사민정협의회 산하 상설기구 설치를 요청했다.
노사민정협의회는 이날 조정·중재안을 확정한 뒤 GGM 노사와 광주시에 전달하고 성실한 이행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임태호 조정·중재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조정·중재안은 상생·화합·미래지향의 3대 원칙하에 당사자 간 공멸을 막고 광주시민과 함께 약속한 노사민정 대타협의 정신, 세계 속 GGM으로 나아가는 미래지향의 정신을 담았다"며 "GGM의 지속할 수 있는 밝은 미래를 위해 조정·중재안을 GGM 노사가 적극 수용해 사회적 대타협을 이루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