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왼쪽)가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와 10일(현지시각) 자동차 부품관세 공동대응을 위한 4개 항에 합의했다. /사진제공=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가 10일(현지시간) 자동차 부품관세 공동대응을 위한 4개항에 합의했다.
이번 합의의 핵심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가능성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연대 구축이다. 특히 경기도와 미시간 주는 '자동차산업 상생 협의체'를 구성하여 정보 공유 및 기업 애로사항에 대한 실시간 대응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는 트럼프 관세에 맞서는 한미 최초의 지방정부 간 협력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경기도 관계자는 설명했다.

협의체를 통해 양 지역 자동차 기업 간의 상생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경기도는 국내 완성차 6개사(현대차, 기아차, 한국GM 등)에 부품을 납품하는 기업이 전국 대비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시간 주는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완성차 3사가 위치한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다.


뿐만 아니라, 한국 부품 기업과 미시간 주 완성차 3사 간의 직접적인 대화 채널 개설에도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는 지난달 31일 평택항 간담회에서 국내 부품업체 관계자들이 김 지사에게 요청했던 내용이다. 채널이 개설되면 우리 기업과 미국 완성차 간 납품가격 협상, 납품조건 등 민감한 이슈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미시간주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부품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김 지사의 미시간주 진출기업의 투자 확대, 초기 투자 시 금융·세제 지원 요청에 휘트머 주지사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올해 경기도가 미시간주에서 개최 예정인 '미래 모빌리티 테크쇼'에 미 완성차 기업이 참여하기로 했다. 유망한 한국 부품사들이 참여하기로 한 행사다. 김 지사의 행사소개와 참여 요청에 휘트머 주지사는 동의하고 역할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부과는 세계경제에 대한 자해행위"라며 "미국 경제에도 관세가 초래할 물가 상승과 실직 등으로 인해 절대로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휘트머 주지사는 "관세는 (예리한 도구가 아닌) 뭉툭한 도구"라며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고, 오히려 중요한 동맹관계가 위기에 처하게 된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한편 휘트머 주지사와 회담에 앞서 김 지사는 현대모비스, 넥센타이어 등 미시간주에 진출한 국내 자동차부품기업 8개사 관계자들과 만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