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전경. /사진제공=경기도
이번 점검은 경기도가 지난해 7월부터 시행 중인 '안전전세 프로젝트' 참여 중개사무소 2000곳을 비롯해, 전세피해지원센터 신고와 민간 모니터링을 통해 불법 중개가 의심되는 500곳 등 총 2500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도는 지난해 7월부터 '안전전세 프로젝트'를 시행해 공인중개사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 왔다. 위험물건 중개 금지, 권리관계 정보 제공 등 10가지 실천 과제를 중심으로 전세사기 예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올해 3월 기준 도내 전체 중개사무소의 46%인 1만4173곳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이번 점검에서는 참여 사무소가 실천 과제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이행이 미흡한 사무소는 재교육, 불참 사무소는 등록 말소 등 행정처분을 검토할 계획이다.
불법 중개 의심 사무소에 대해서는 중개대상물 확인·설명 부적정, 전세 계약 시 중요정보 허위 제공 등의 위반 사항을 중점 점검한다. 위법행위 적발 시 행정처분은 물론 증거자료 확보 후 경찰 수사까지 의뢰할 계획이다.
점검은 도, 시군 부동산 부서, 민간(안전전세 관리단)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 합동 점검으로 8주간 진행한다. 실효성뿐 아니라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도 함께 추구한다.
손임성 도 도시주택실장은 "이번 지도·점검은 공인중개사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강화해 도민의 전세사기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