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부산광역시장(왼쪽)과 박완수 경남도지사(가운데), 김두겸 울산시장이 14일 제3회 부울경정책협의회를 가진 뒤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사진=부산시, 경남도
부산·울산·경남의 부울경초광역경제동맹이 출범 2주년을 맞았다.
14일 오전 부산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제3회 부울경정책협의회'에서는 지난 2년간의 협력성과를 점검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향후 계획이 집중 논의됐다.

3개 시도는 초광역권발전계획(2023~2027)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2025년 시행계획'도 확정된 만큼 대선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공동 대응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이날 부울경정책협의회를 개최한 뒤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60여 개 협력사업과 핵심 프로젝트들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시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공동성명서에서 정국의 혼란과 국가 리더십 부재 속에 국민 통합과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제왕적 대통령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방분권의 가치를 헌법에 명확히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도권 일극 체제를 넘어서는 균형발전의 해법으로서 부울경 경제동맹의 역할을 다시 한번 천명한 것이다.

3개 시도는 그 동안 60여 개 협력사업과 3대 핵심 프로젝트를 통해 초광역 발전전략을 구체화했다. 49개 사업에 총 9259억원의 국비를 확보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동남권 순환 철도', '지역 전기요금 차등제', '국가 녹조 대응센터 설립' 등 21개 주요 과제를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약에 반영할 것을 공동 건의하기로 했다.


박완수 지사는 "극단적 대치 정국을 넘어서 국민통합을 서둘러야 할 때"라며 "지방분권 가치 실현과 균형발전은 개헌을 통해 제도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형준 시장도 "부울경 협력모델이 전국 확산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대선 공약 반영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김두겸 시장은 "지방소멸 대응과 분권 강화를 헌법에 명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더했다.

앞으로 부울경 3개 시도는 시도지사가 직접 참여하는 정책협의회와 기획조정실장 간 조정회의를 수시로 개최하고 부울경 초광역권발전계획의 시행계획 수립과 관리를 체계화해 협력성과를 높여간다는 계획이다.